연명치료 거부 신청
어느 날, 나는 사랑하는 어머니의 병원 침대 옆에서 이 결정을 내리게 된 순간을 겪었습니다. 어머니는 진행성 질환으로 고통을 견디고 있었고, 의사들은 연명치료를 제안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어머니의 의지와 우리 가족의 결정과 맞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연명치료 거부를 선택했습니다.
연명치료 거부의 결정은 쉽지 않았습니다. 두려움, 불안, 그리고 절망이 우리를 휩쓸렀지만, 우리는 어머니의 소망을 존중하고, 그녀의 마지막 순간을 가족의 곁에서 편안하게 보내기로 했습니다.
어머니는 우리 곁에서 조용히 떠났습니다. 그 순간은 슬픔으로 가득 차 있었지만, 동시에 그녀가 고통스럽지 않게 떠날 수 있어서 안도감도 느꼈습니다. 그녀의 눈 속에는 희망과 용기의 빛이 있었습니다.
연명치료 거부의 결정은 우리에게 용기와 결단력을 주었습니다. 그 순간은 우리의 가족을 더 가깝게 만들었고, 사랑과 이해를 더욱 중요하게 여기게 했습니다. 어머니의 결정은 우리에게 '인간다운 죽음'의 중요성을 가르쳐 주었습니다.
우리는 연명치료 거부의 결정을 내릴 때 많은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의 마음을 존중하고, 그들의 마지막 순간을 편안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이 결정은 어렵고 복잡할 수 있지만, 마음을 열고 고민하며 그들을 위한 최선의 선택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의 마지막 순간, 연명치료 거부의 용기를 내어 사랑과 존경을 가지고 마음을 닫지 않고 함께할 수 있다면, 그것이 진정한 인간다운 죽음의 순간일 것입니다. 그 순간은 우리에게 용기를 주고, 사랑을 강화시키며, 소중한 삶의 가치를 되새기게 하는 순간일 것입니다.
연명치료 거부 신청 방법
19세 이상의 국민은 누구나 자신이 향후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가 되었을 때를 대비한 연명의료 및 호스피스에 관한 의향을 문서로 작성해 둘 수 있습니다.
이 문서를 사전연명의료의향서라고 합니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보건복지부의 지정을 받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을 방문하여 충분한 설명을 듣고 작성해야 합니다. 등록기관을 통해 작성·등록된 사전연명의료의향서는 연명의료 정보처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보관 되어야 비로소 법적 효력을 인정 받을 수 있습니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서식을 미리 보고 싶다면 아래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2023년 9월 기준, 아래와 같은 국민들이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했습니다.
서식을 확인했다면, 아래 버튼을 통해 내 주변에서 연명치료 거부 신청이 가능한 의료기관을 찾아봅니다.
연명치료 거부 신청기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는 따로 비용이 들지 않습니다.
만약, 문의하거나 방문한 방문기관에서 비용을 요구한다면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등록기관이 아닐 가능성이 있으니 반드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 지정현황을 확인 후 방문해야 합니다.
등록기관마다 상담실 운영 기준이 상이할 수 있습니다. 방문하시려는 기관에 미리 확인 후 방문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2016년 한 해에만,
우리나라 총 사망자 28만명 중 75%인 21만 명이 병원에서 사망했습니다.
그리고 병원에서 사망하는 사람들 중 상당수는 의학적으로 소생할 가능성이 매우 낮은 상황에서도 생명연장을 위한 다양한 시술과 처치를 받으며 남은 시간의 대부분을 보냅니다.
내 삶의 마지막을 아름답게 마무리할 수 있는 소중한 권리인 [연명치료 거부 신청]에 대해 많은 관심과 공유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