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주휴수당 A-Z

💡
가장 쉽고 명확한 주휴수당 설명

근로기준법은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하는 근로자에게 (사업체의 규모와 상관없이) 일주일에 한 번씩 쉬는 날, 즉 주휴일(유급휴일)을 정하고 이 날에도 주휴수당으로 급여를 제공하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주휴수당의 3가지 조건은 어떻게 되는지, 내 주휴수당 금액은 어떻게 계산하는지 명확하게 정리해두었으니,

아래 페이지에서 확인해봅시다.
▼ ▼ ▼ ▼ ▼ ▼ ▼ ▼ ▼ ▼ ▼ ▼ ▼ ▼▼ ▼ ▼ ▼ ▼ ▼ (opens in a new tab)

1. 주휴수당 지급 조건

사업주는 다음의 3가지 조건을 충족하는 근로자에게 반드시 주휴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1.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
  2. 일주일동안 모든 근무일에 개근 (출근만 하면 조퇴, 지각 등 상관 없음)
  3. 다음 주에도 출근 예정 (퇴사 예정이 아님)

2번 항목에서 말하는 모든 근무일이란, 주 5회 근로자에게는 5일, 주 3회 근로자에게는 3일에 해당됩니다.

위 모든 사항은 근로계약서를 기준으로 합니다.

2.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계산법은 다음과 같이 간단합니다.

(일주일 근로시간) x 8 x (시급) / 40

예를 들어 일주일에 20시간 일하는 아르바이트생의 경우 20시간을 40시간으로 나눈 뒤 여기에 8시간을 곱하고 다시 시급을 곱해서 4시간치 시급을 주휴수당으로 지급해야 합니다.

직접 계산하기 번거롭다면 아래와 같은 주휴수당 계산기 (opens in a new tab)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매번 위와 같이 계산하기 번거롭기 때문에, 많은 사업주들은 시급에 주휴수당을 포함해서 계약서를 작성하기도 합니다.


3. 만약 주휴수당을 안 지키면?

만약 사업주가 주휴수당을 지키지 않으면,

근로기준법 제110조(벌칙)에 따라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고용노동부 안내를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