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주휴수당 A-Z
💡
가장 쉽고 명확한 주휴수당 설명
근로기준법은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하는 근로자에게 (사업체의 규모와 상관없이) 일주일에 한 번씩 쉬는 날, 즉 주휴일(유급휴일)을 정하고 이 날에도 주휴수당으로 급여를 제공하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주휴수당의 3가지 조건은 어떻게 되는지, 내 주휴수당 금액은 어떻게 계산하는지 명확하게 정리해두었으니,
아래 페이지에서 확인해봅시다.
▼ ▼ ▼ ▼ ▼ ▼ ▼ ▼ ▼ ▼ ▼ ▼ ▼ ▼▼ ▼ ▼ ▼ ▼ ▼ (opens in a new tab)
2.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계산법은 다음과 같이 간단합니다.
(일주일 근로시간) x 8 x (시급) / 40
예를 들어 일주일에 20시간 일하는 아르바이트생의 경우 20시간을 40시간으로 나눈 뒤 여기에 8시간을 곱하고 다시 시급을 곱해서 4시간치 시급을 주휴수당으로 지급해야 합니다.
직접 계산하기 번거롭다면 아래와 같은 주휴수당 계산기 (opens in a new tab)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